9
*김현경 교수님의 2015년 이전 저서는 "About" 탭의 CV를 다운받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.
*♣ 표시가 되어있는 항목은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나, 국문으로 작성된 저서입니다.
*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이 연구실 구성원입니다.
2021
김현경·김재희·최지은·이지혜(2021). 코로나19 관련 보호대상아동 인권보장 수요조사. 서울특별시(연구보고 51-6110000-002619-01). Retrived from https://news.seoul.go.kr/gov/archives/535663.
2020
오해섭·박지영·이지혜·임하린(2020). 2019년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실태조사 연구. 교육부·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(연구보고 19-R59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gotoschool.re.kr/brdartcl/boardarticleList.do?brd_id=BDIDX_05btzWCWIF5KaFg5N5TZ3v&srch_menu_nix=6cmsC9J4.
2019
♣Jeon, Y., Park, S., Jo, Y., Jung, J., Kim, H., Kim, H. K., Lee, J., & Joo, H. (2019). A study on the reentry of juvenile offenders from the training schools in South Korea(Ⅲ) (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Publication No. 19-CB-01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kic.re.kr/pubdata/public/Read.jsp?paramNttID=12108¶mPage=3
Pears, K., & Kim, H. K. (2019).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in Out-of-Home Care. In Education in Out-of-Home Care (pp. 105-116). Springer, Cham.
김현경·최지은·박미연·이해나. (2019). 2019 경상북도 복합외상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매뉴얼 구축. 경상북도·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.
윤철경·박지영·서보람·이지혜·양수빈(2019). 2018년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실태조사 연구. 교육부·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(연구보고 18-R53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gotoschool.re.kr/brdartcl/boardarticleList.do?brd_id=BDIDX_05btzWCWIF5KaFg5N5TZ3v&srch_menu_nix=6cmsC9J4.
전혜정·박주희·김현경·최지은·이승은·조은호·김윤경·송시영·이경미·이선아·강미선. (2019). 연세아동가족패널 연구 -1차 조사-.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.
2018
Pears, K.C., Kim, H.K., & Brown, K.L. (2018).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trajectories and outcomes of youth in foster care. In E. Trejos & N. Trevino (Eds.). Handbook of Foster Youth. Routledge/Taylor & Francis.
Pears, K.C., Carpenter, L., Kim, H.K., Peterson, E., & Fisher, P.A. (2018). The Kids in Transition to School Program. In A.J. Mashburn, J. LoCasale-Crouch, & K.C. Pears (Eds.). Kindergarten Transition and Readiness: Promoting cognitive, social-emotional and self-regulatory development (pp. 283-302). Springer.
2017
Weller, J., Kim, H. K., & Leve, L.D. (2017). Looses loom larger than gains when predicting behavioral risk outcomes: An early intervention study with a sample of maltreated female adolescents. In M. Toplak & J. Weller (Eds). Individual differences in judgment and decision-making from a developmental context. New York, NY: Oxford University Press.
이미화·강은진·박진아·김동훈·이재희·김길숙·김태우·최지은 (2017). 국가시험제 등 보육교직원 자격강화 연구사업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2016
Bush, K.R., Abrams-Muruthi, B.A., Bohon, S.A., & Kim, H.K. (2016). Adaptation among immigrant families: Resources and barriers. In C.A. Price, K.R. Bush, & S.J. Price, (Eds.). Families and change: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 (5th Edition). Thousand Oaks, CA: Sage Publications.
Kim, H.K., Shortt, J.W., Tiberio, S.S., & Capaldi, D. M. (2016). Aggression and coercive behaviors in early adult relationships: Findings from the Oregon Youth Study-Couples Study. In T. Dishion & J. Snyder (Eds.). The oxford handbook of coercive relationship dynamics. New York, NY: Oxford University Press.
김은영·최효미·최지은 (2016).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(Ⅱ): 2세·5세의 하루일과를 중심으로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최윤경·이정원·배윤진·김동훈·최지은·권혜진 (2016). 보수교육기관 평가사업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2015
최지은·이민경 (2015).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만5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- 한국아동패널 1~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. 이정림 편, 한국아동패널 2008-2014 자료 심층 분석 연구(pp. 17-48)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이미화·김은설·강은진·김아름·김동훈·최지은 (2015).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연구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권미경·도남희·강은진·최지은·정효진 (2015). 부모참여 확대를 위한 열린보육프로그램 개발 연구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도남희·강은진·최지은 (2015). 출산수준 제고와 일·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(Ⅴ): 산업단지 어린이집 설치 현황 및 개선 방안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권미경·최효미·최지은·김건희 (2015).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(Ⅰ): 장애영유아를 중심으로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*김현경 교수님의 2015년 이전 저서는 "About" 탭의 CV를 다운받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.
*♣ 표시가 되어있는 항목은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나, 국문으로 작성된 저서입니다.
*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이 연구실 구성원입니다.
2021
김현경·김재희·최지은·이지혜(2021). 코로나19 관련 보호대상아동 인권보장 수요조사. 서울특별시(연구보고 51-6110000-002619-01). Retrived from https://news.seoul.go.kr/gov/archives/535663.
2020
오해섭·박지영·이지혜·임하린(2020). 2019년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실태조사 연구. 교육부·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(연구보고 19-R59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gotoschool.re.kr/brdartcl/boardarticleList.do?brd_id=BDIDX_05btzWCWIF5KaFg5N5TZ3v&srch_menu_nix=6cmsC9J4.
2019
♣Jeon, Y., Park, S., Jo, Y., Jung, J., Kim, H., Kim, H. K., Lee, J., & Joo, H. (2019). A study on the reentry of juvenile offenders from the training schools in South Korea(Ⅲ) (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Publication No. 19-CB-01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kic.re.kr/pubdata/public/Read.jsp?paramNttID=12108¶mPage=3
Pears, K., & Kim, H. K. (2019).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in Out-of-Home Care. In Education in Out-of-Home Care (pp. 105-116). Springer, Cham.
김현경·최지은·박미연·이해나. (2019). 2019 경상북도 복합외상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매뉴얼 구축. 경상북도·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.
윤철경·박지영·서보람·이지혜·양수빈(2019). 2018년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실태조사 연구. 교육부·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(연구보고 18-R53). Retrieved from https://www.gotoschool.re.kr/brdartcl/boardarticleList.do?brd_id=BDIDX_05btzWCWIF5KaFg5N5TZ3v&srch_menu_nix=6cmsC9J4.
전혜정·박주희·김현경·최지은·이승은·조은호·김윤경·송시영·이경미·이선아·강미선. (2019). 연세아동가족패널 연구 -1차 조사-.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.
2018
Pears, K.C., Kim, H.K., & Brown, K.L. (2018).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trajectories and outcomes of youth in foster care. In E. Trejos & N. Trevino (Eds.). Handbook of Foster Youth. Routledge/Taylor & Francis.
Pears, K.C., Carpenter, L., Kim, H.K., Peterson, E., & Fisher, P.A. (2018). The Kids in Transition to School Program. In A.J. Mashburn, J. LoCasale-Crouch, & K.C. Pears (Eds.). Kindergarten Transition and Readiness: Promoting cognitive, social-emotional and self-regulatory development (pp. 283-302). Springer.
2017
Weller, J., Kim, H. K., & Leve, L.D. (2017). Looses loom larger than gains when predicting behavioral risk outcomes: An early intervention study with a sample of maltreated female adolescents. In M. Toplak & J. Weller (Eds). Individual differences in judgment and decision-making from a developmental context. New York, NY: Oxford University Press.
이미화·강은진·박진아·김동훈·이재희·김길숙·김태우·최지은 (2017). 국가시험제 등 보육교직원 자격강화 연구사업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2016
Bush, K.R., Abrams-Muruthi, B.A., Bohon, S.A., & Kim, H.K. (2016). Adaptation among immigrant families: Resources and barriers. In C.A. Price, K.R. Bush, & S.J. Price, (Eds.). Families and change: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 (5th Edition). Thousand Oaks, CA: Sage Publications.
Kim, H.K., Shortt, J.W., Tiberio, S.S., & Capaldi, D. M. (2016). Aggression and coercive behaviors in early adult relationships: Findings from the Oregon Youth Study-Couples Study. In T. Dishion & J. Snyder (Eds.). The oxford handbook of coercive relationship dynamics. New York, NY: Oxford University Press.
김은영·최효미·최지은 (2016).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(Ⅱ): 2세·5세의 하루일과를 중심으로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최윤경·이정원·배윤진·김동훈·최지은·권혜진 (2016). 보수교육기관 평가사업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2015
최지은·이민경 (2015).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만5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- 한국아동패널 1~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. 이정림 편, 한국아동패널 2008-2014 자료 심층 분석 연구(pp. 17-48)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이미화·김은설·강은진·김아름·김동훈·최지은 (2015).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연구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권미경·도남희·강은진·최지은·정효진 (2015). 부모참여 확대를 위한 열린보육프로그램 개발 연구. 보건복지부·육아정책연구소.
도남희·강은진·최지은 (2015). 출산수준 제고와 일·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(Ⅴ): 산업단지 어린이집 설치 현황 및 개선 방안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
권미경·최효미·최지은·김건희 (2015).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(Ⅰ): 장애영유아를 중심으로. 서울: 육아정책연구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