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김현경 교수님의 2015년 이전 논문은 "About" 탭의 CV를 다운받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.
*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이 연구실 구성원입니다.
In Press / In Revision / Under Review
Kim, Y., Li, T., Kim, H. K., Oh, W., & Wang, Z. (under review). Socioeconomic Status and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across Childhood: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chool-Based Involvement.
Oh, W., Kim, H. K., Song, S., Li, T., & Kim, S. (under review). Heterogeneous cascading processes: Parenting Stress, parenting, and child problems across infancy through adolescence.
Joo, S., Lee, Y., & Kim, H. K. (under review). Heterogeneous profiles of digital competenc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: findings from south korea.
이지원, 최지은, 김현경. (In Press).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감과 자기통제의 종단적 관계와 성인 진입기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. 한국청소년연구.
명재영, 이지원, 이승은, 이예슬, 신현재. (under review). 캠퍼스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 행동 디자인 개입과 효과성 탐색: 계획된 행동(TPB) 이론을 적용한 미화원-학생 간 포스트잇 도어사인. 디자인학회.
Jun, G. T., Baek, J. S., Lee, J., Jo, E.H., & Kim, H. K. (under review). Unleashing AcciMap’s Potential in Identifying and Anticipating Sociotechnical System Failures - A Case Study of Child Abuse Prevention through Design. Design Studies.
2023
한단비, 최지은, 김현경. (2023). 영유아기 아버지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 이용이 초기 청소년기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: 아동기 부모 공동양육 수행의 매개효과. 육아정책연구, 17(1), 223-246.
이민지, 송주현 (2023).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미디어 이용 및 신체활동이 인지적, 정서적 집행기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. 육아정책연구, 17(1), 171-195. https://doi.org/10.5718/kcep.2023.17.1.171
이지원, 이예슬, 명재영, 이승은, 신현재. (2023). 지속가능한 캠퍼스 디자인 개입을 위한 제언- A대학 S건물 내 미화원과 대학원생의 쓰레기 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. 디자인문화학회지, 29(3), 297-310.
이예슬, 김현경, 주수산나. (2023). 디지털 소통능력과 디지털 이용중재의 관계: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.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 43(4), 485-497.
Choi, J., Lee, J., Park, M.Y., & Kim, H. K.* (2023). Heterogeneity in Korean school dropouts during adolescence and their adjustment in emerging adulthood: A person-centered approach.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, 85, 101509.
2022
Youn, H., Kim, J., Ma, N., Lee, J., Widjaja, S. P., Kim, H. K., & Lee, H. K. (2022). Child Emotion Review Application Design with Design Thinking Empathizing Process.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, 76, 33-43.
허윤성, 최지은, 박소희, 한지수, 이민지, 정윤교, 김현경. (2022). 영유아기 부모의 부부갈등이 초기 청소년기 자녀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: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재화 문제의 이중매개효과. 육아정책연구, 16(3), 31-54. DOI: https://doi.org/10.5718/kcep.2022.16.3.31. (교신저자)
구혜민, 이승은, 이예슬, 김현경. (2022).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 위축을 통한 부모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. 아동학회지, 43(4), 485-497. DOI: https://doi.org/10.5723/kjcs.2022.43.4.485. (교신저자)
Bowker, J., Sette, S., Ooi, L., Bayram Özdemir, S., Braathu, N., Bølstad, E., Castillo, K., Dogan, A., Greco, C., Kamble, S., Kim, H. K., Kim, Y., Liu, J., Oh, W., Rapee, R., Wong, Q., Zuffianò, A., & Coplan, R. (2022). Cross-Cultural Measurement of Social Withdrawal Motivations Across Ten Countries Using Multiple-Group Factor Analysis Alignment.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. 47(2), 190-198. DOI: https:// 10.1177/016502542211327.
Park, S., Oh, W., Kim, Y., Kim, H. K., Mastergeorge, A.M. (2022).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Korean Families: Children’s Executive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. Social Development. DOI: https://doi.org/10.1111/sode.12661.
신나리, 우현경, 김현경, 박이슬, 이지혜. (2022). 어린이집 유아반의 안전사고 발생과 사후조치의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. 육아정책연구, 16(2), 103-127.
Kim, H. K., & Bruce, J. (2022). Role of risk taking and inhibitory control in alcohol use among maltreated adolescents and nonmaltreated adolescents. Child Maltreatment, 27(4), 615–625. DOI: https://doi.org/10.1177/10775595211031349.
Bruce, J., & Kim, H. K. (2022). Behavioral and electrophysiological indices of inhibitory control in maltreated adolescents and nonmaltreated adolescents.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, 34(3), 1054-1063.
Kim, J., Yu, H., & Kim, H. K.* (2022). Effects of cumulative family risks on school readiness skills: A cross-cultural study between the US and Korea.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, 61, 15-24. DOI: https://doi.org/10.1016/j.ecresq.2022.05.002. (Corresponding author)
김재희, 강연화, 김현경. (2022).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유아교사의 적응력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소진에 미치는 영향: 온라인수업 경험에 따른 차이. 한국아동학회, 43(3), 201-214. (교신저자)
김율리, 주수산나, 이예슬, 김현경. (2022).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감의 매개효과: APIMeM 모형을 활용하여. 대한가정학회, 60(3), 471-481.
조은호, 최지은, 이민지, 허윤성, 김현경. (2022). 아동기 부모의 디지털미디어 사용 중재 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디지털 리터러시. 한국청소년연구, 33(3), 5-29.(교신저자)
Pears, K. C., Tiberio, S. S., & Kim, H. K. (2022). Reducing suicidal ideation in pre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foster care by promoting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. Child Maltreatment. Advance online publication. DOI: 10.1177/10775595221115209.
이예슬, 주수산나, 김현경. (2022).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. 한국노년학, 42(2), 317-334.
Oh, W., Kim, H. K., Park, S., Mastergeorge, A.M., & Roggman, L. (2022). Maternal and paternal insensitivity, adaptive engagement, and school readiness skills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: A dynamic approach.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, 58, 220-230.
김재희, 김지연, 김현경. (2022). 부·모의 양육참여시간이 양육스트레스와 일과 규칙성을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. 한국보육지원학회지, 18(2), 105-124. (교신저자)
2021
Kim, J., & Lee, J.* (2021). Paterna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al pathway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, homel earning stimulation, and children's social skills in the U.S. and Korea: A moderated mediation model.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, 52(3), 343-372.
Choi, S., Kang, M., Lee, Y., Lee, S., Kim, H. K., & Lee, H-K. (2021). Interdisciplinary service design approach to promote sustainable solutions in social complexity: Case study on korean elderly residential stability during COVID-19. Applied Sciences, 11(24), 12009.
이예슬, 주수산나, 김현경, 박하영. (2021). 중년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노동 참여의 매개효과: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. 가정과삶의질연구, 39(4), 31-47.
이지원, 우현경, 김현경. (2021). 근거기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: 국내·외 사례 고찰과 발달적 관점을 중심으로. 유아교육연구, 41(6), 349-376. (교신저자)
한민진, 주수산나, 김현경. (2021). 부부가구 남녀 노인의 배우자와의 돌봄 제공과 수혜가 우울감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. 한국노년학, 41(5), 667-685.
Choi, J., Jun, H.J., & Kim, H. K.* (2021). Supplementary grandchild care, social integration, and depressive symptoms: Longitudinal findings from Korea. Aging & Mental Health, 25(1), 78-85. (Corresponding author)
Oh, W., Bowker, J., Guedes, M., Santos, A. J., Ribeiro, O., Freitas, M., Kim, H. K., Song, S., & Rubin, K. H. (2021). Distinct profiles of relationships with mothers, fathers, and best friends and social-behaviora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: A cross-cultural study. Child Development. 92(6), e1154-e1170.
최지은, 이지원, 김현경. (2021). 어머니 직장의 가족친화제도 시행과 이용이 맞벌이-공동양육 (dual earner-dual carer) 잠재집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. 육아정책연구, 15(1), 55-79. (교신저자)
Choi, J., Kim, H. K.*, Capaldi, D.M., & Snodgrass, J. J. (2021). Long-term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hood on their son’s physiological stress regulation system in adulthood. Developmental Psychobiology, 63(1). (Corresponding author)
Pears, K.C. & Kim, H. K. (2021). A two-generational approach to promot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: The Kids in Transition to School Program. In S. T. Vorkapić & J. LoCasale-Crouch (Eds.) Supporting children’s well-being during early childhood transition to school (pp. 322-340). IGI Global.
김재희, 김현경. (2021). 부모의 양육인지가 양육실제를 통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. 인간발달연구, 28(2), 73-95. (교신저자)
김수예, 김현경. (2021).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. 한국보육지원학회지, 17(3), 19-37. (교신저자)
2020
이지원, 최지은, 김현경. (2020). 부모 공동양육의 양과 질을 반영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집단 간 사회인구학적 특성, 학령기 아동 정서조절능력의 차이. 아동학회지, 41(6), 95-110. (교신저자)
최지은, 김현경. (2020). 아버지 프로그램의 근거기반실천을 위한 제언: 국내ㆍ외 사례 고찰을 바탕으로. 가족과 문화, 32(3), 107-145. (교신저자)
최지은, 이지원, 정다빈, 이해나, 김현경. (2020).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·사회적 발달궤적과 성인초기 적응 여부에 따른 차이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33(1), 37-52. (교신저자)
김현경, 이주영, 정다빈. (2020). 아동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와 제언. 한국심리학회지:일반, 39(3), 421-443.
이해나, 김현경. (2020).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사회적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 영향과 대처전략을 통한 매개효과: 한국과 미국 청소년의 비교연구. 청소년학연구, 27(10), 109-136. (교신저자)
박미연, 김현경. (2020).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, 친구지지와 자아가치의 관계에서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내재화 문제의 매개효과: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. 한국청소년연구, 31(3), 277-306. (교신저자)
김진형, 조진실, 정다빈, 김현경, 백준상. (2020). 과도기적 간병인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연구 - 이해관계자 중심의 접근. 디자인융복합연구(구.인포디자인이슈), 19(6), 17-31.
김재희, 김현경, 김윤희. (2020). 유아의 학습관련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부모-자녀 애착의 영향: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실행기능의 매개효과. 생애학회지, 10(1), 19-38. (교신저자)
김윤희, 김현경. (2020).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종단적 교우관계 발달. 청소년학연구, 27(9), 155-182. (교신저자)
김윤희, 김현경. (2020). 다문화가정 청소년 가족지지 및 한국어 능력과 학교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: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. 청소년학연구, 27(6), 367-396. (교신저자)
조은호, 이주영, 전영실, 박성훈, 정진경, 김현경. (2020). 임시퇴원 소년보호관찰 대상자의 사회정착을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사례: 한국형 Skills Coach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험연구. 보호관찰, 20(1), 57-82. (교신저자)
나한아, 김재희, 김현경. (2020).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: 어머니-유아관계와 교사-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. 인간발달연구, 27(2), 183-204. (교신저자)
조은호, 이지원, 신미라, 백준상, 김현경. (2020). 효과적인 또래 지지 코칭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개발을 위한 연구: 다학제적 프로세스를 중심으로. 디자인융복합연구(구.인포디자인이슈), 19(4), 81-95. (교신저자)
이지혜, 조은호, 박미연, 김현경. (2020).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지지 및 또래지지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과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33(2), 165-180. (교신저자)
2019
Pears, K. C., & Kim, H. K. (2019).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in out-of-home care. In P. McNamara, C. Montserrat, & S. Wise (Eds.). Education in out-of-home care: children’s well-being: indicators and research (pp.105-116). Springer.
김윤희, 김현경, 김재희. (2019). 영아기 기질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: 학교준비도의 매개효과. 유아교육연구, 39(6), 377-400. (교신저자)
최지은, 김현경. (2019).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제도가 아버지, 어머니,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. 육아정책연구, 13(2), 145-169. (교신저자)
최지은, 김현경. (2019).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의 신체적 ‧ 정신적 적응: 생활시간조사와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한 시대, 연령, 코호트 간 차이 분석. 한국사회학, 53(3), 1-41. (교신저자)
김윤희, 구자연, 김현경. (2019).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이시기 학업수행능력의 종단적 발달경로: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. 유아교육연구, 39(3), 191-212. (교신저자)
김윤희, 김현경. (2019). 부모의 학대적 양육과 청소년의 낮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기 사회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직·간접적 영향과 성차: 한국과 미국 비교 연구. 청소년학연구, 26(6), 73-103. (교신저자)
Olson, A., Kim, H. K., Bruce, J., & Fisher, P.A. (2019). General cognitive ability as an early indicator of problem behavior among toddlers in foster care.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, 40(2), 144-149.
Kim, J., & Kim, H. K.* (2019).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ffortful control in families with school age children in Korea. Journal of Family Psychology, 33(1), 88-97. (Corresponding author)
2018
김수진 , 전세진, 김현경, 오경자, 이주영. (2018). 보호관찰 청소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역경, 냉담-무정서 특질, 비행또래 간의 관계. 정서·행동장애연구, 34(4), 629-649.
서아현, 오경자, 이주영, 김현경. (2018). 보호관찰 청소년의 CBCL 조절곤란 프로파일(Dysregulation Profile) 특성. 청소년상담연구, 26(2), 67-90.
Martin, C.G., Kim, H. K., & Freyd, J. (2018). Overwhelmed by emotion: Pathways from revictimization to mothers’ negative emotional responsivity. Family Process, 57(4), 947-959.
Roos, L.E., Beauchamp, K.G., Giuliano, R., Zalewski, M., Kim, H. K., & Fisher, P.A. (2018). Children’s biological responsivity to acute stress predicts concurrent cognitive performance. Stress, 21(4), 347-354.
McDermott, J.M., Pears, K.C., Bruce, J., Kim, H. K., Roos, L., Yoerger, K.L., & Fisher, P.A. (2018). Improving kindergarten readines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: Changes in neural correlates of response monitoring. Applied Neuropsychology: Child, 7(3), 187-199.
Graham, A. M., Pears, K. C., Kim, H. K., Bruce, J., & Fisher, P. A. (2018). Effects of a school readiness intervention on HPA axis functioning and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in foster care.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, 30, 651-664.
Martin, C.G., Kim, H. K., & Freyd, J. (2018). In the spirit of full disclosure: Maternal distress, emotional validation, and adolescent disclosure of distressing experiences. Emotion, 18(3), 400-411.
구자연, 김현경. (2018). 유아의 초등학교 준비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. 열린유아교육연구, 23(5), 337-359. (교신저자)
김윤희, 구자연, 김현경. (2018). 대학 신입생의 우울: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 발달궤적, 부모의 학대적 양육, 그리고 음주 및 흡연 경험의 영향과 성차. 청소년학연구, 25(7), 67-92.
서재화, 김현경. (2018). 아동의 초등학교적응 및 집행기능의 종단적 발달경로: 어머니의 활동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역할. 유아교육연구, 38(5), 107-130. (교신저자)
Pears, K. C., Carpenter, L., Kim, H. K., Peterson, E., & Fisher, P.A. (2018). The kids in transition to school program. In A.J. Mashburn, J. LoCasale-Crouch, & K.C. Pears (Eds.). Kindergarten transition and readiness: Promoting cognitive, social-emotional and self-regulatory development (pp. 283-302). Springer,
Pears, K.C., Kim, H. K., & Brown, K.L. (2018).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trajectories and outcomes of youth in foster care. In E. Trejos & N. Trevino (Eds.). Handbook of foster youth. Routledge/Taylor & Francis.
박연재, 김현경, 이주영. (2018). 양육환경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: 비행또래의 매개효과 검증. 청소년학연구, 25(10), 225-251. (교신저자)
한지연, 서아현, 김현경, 오경자, 이주영. (2018). 소년보호관찰 집단의 이질적 문제행동 패턴을 예측하는 위험요인 검증. 한국청소년연구, 29(3), 303-330.
2017
Kim, H. K., Buchanan, R., & Price, J. (2017). Pathways to preventing substance use among youth in foster care. Prevention Science, 18, 567-576.
이주영, 이수진, 변지애, 김현경, 정유희, 손외철. (2017). 소년보호관찰 대상자들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의 성차: 학대경험, 충동성, 약물사용을 중심으로. 보호관찰, 17(2), 109-138.
최지은, 박연재, 김현경. (2017). 청소년기부터 성인기 전이 시기 남녀의 건강위험행동 발달궤적과 영향요인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30(4), 137-160. (교신저자)
김재희, 김현경. (2017). 초기 청소년의 의도적 통제가 학업성적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: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와 남녀집단 차이. 아동학회지, 38(5), 33-46. (교신저자)
김재희, 김현경. (2017). 학령후기의 의도적 통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: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와 성차. 인간발달연구, 24(3), 37-56.
김재희, 김현경, 이희선. (2017). 아버지 양육행동이 학령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: 아버지와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 아동학회지, 38(3), 19-32.
Weller, J., Kim, H. K., & Leve, L.D. (2017). Losses loom larger than gains when predicting behavioral risk outcomes: An early intervention study with a sample of maltreated female adolescents In M. Toplak & J. Weller (Eds). Individual differences in judgment and decision-making from a developmental context. Oxford University Press.
2016
Roos, L. E., Kim, H. K., Schnabler, S., & Fisher, P. A. (2016). Children’s executive function in a CPS involved sample: Effects of cumulative adversity and specific types of adversity.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, 71, 184-190.
Pears, K. C., Kim, H. K., Fisher, P. A., & Yoerger, K. (2016). Increasing pre-kindergarten early literacy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lays. Journal of School Psychology, 57, 15-27.
Martin, C. G., Kim, H. K., & Fisher, P. A. (2016). Differential sensitization of parenting on early adolescent cortisol: Moderation by profiles of maternal stress. Psychoneuroendocrinology, 67, 18-26.
Roos, L. E., Fisher, P. A., Shaw, D. S., Kim, H. K., Neiderhiser, J. M., Reiss, D., Natsuaki, M. N., & Leve, L. D. (2016). Inherited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 childhood co-occurring symptom phenotype: Evidence from an adoption study.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, 28(1), 111-125.
Pears, K. C., Kim, H. K., & Fisher, P. A. (2016). Decreasing risk factors for later alcohol use and antisocial behaviors in children in foster care by increasing early promotive factors.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, 65, 156-165.
Kim, H. K., Shortt, J. W., Tiberio, S. S., & Capaldi, D. M. (2016). Aggression and coercive behaviors in early adult relationships: Findings from the Oregon Youth Study-couples study. In T. Dishion & J. Snyder (Eds.). The oxford handbook of coercive relationship dynamics. Oxford University Press.
Bush, K. R., Abrams-Muruthi, B. A., Bohon, S. A., & Kim, H. K. (2016). Adaptation among immigrant families: Resources and barriers. In C.A. Price, K.R. Bush, & S.J. Price, (Eds.). Families and change: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 (5th Edition). Sage Publications.
2015
Leve, L.D., Chamberlain, P., & Kim, H. K. (2015). Risks, outcomes, and evidence based interventions for girls in the US juvenile justice system.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, 18, 252-279.
Kim, H. K., & Yu, H. (2015). Promoting quality intimate partner relationships among adults with a history of child maltreatment. Journal of Adolescent Health, 57(2), 135-136.
Wiesner, M., Arbona, C., Capaldi, D. M., Kim, H. K., & Kaplan, C. D. (2015). Mother-youth acculturation gaps and health-risking/emotional problems among Latin-American adolescents.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, 18, e52, 1-13.
Pears, K.C., Kim, H. K., Buchanan, R., & Fisher, P.A. (2015). Adverse consequences of school mobility for children in foster care: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. Child Development, 86(4), 1210-1226.
Weller, J.A., Leve, L.D., Kim, H. K., Bhimji, J., & Fisher, P.A. (2015). Plasticity of risky decision-making among maltreated adolescents: Evidence from a randomized controlled.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, 27(2), 535-551.
Roos, L. E., Pears, K.C., Bruce, J., Kim, H. K., & Fisher, P. A. (2015). Impulsiv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eedback-related negativity and accuracy on an inhibitory control task in young at-risk children. Psychophysiology, 52(5), 704-713.
Pears, K. C., Kim, H. K., Healey, C., Yoerger, K., & Fisher, P. A. (2015). Improving child self-regulation and parenting in families of pre-kindergart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ehavioral difficulties. Prevention Science, 16(2), 222-232.
Kim, H. K., Tiberio, S.S., Capaldi, D.M., Wu Shortt, J., Midttveit, E., & Snodgrass, J. J. (2015).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iurnal cortisol patterns in couples. Psychoneuroendocrinology, 51, 35-46.
McCormack, K., Howell, B. R., Guzman, D., Villongco, C., Pears, K., Kim, H. K., Gunnar, M. R., & Sanchez, M. M. (2015).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global dimensions of maternal care in rhesus macaques (Macaca mulatta).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, 77(1), 20-33.